본문 바로가기
아웃도어의 모든것

월출산 등산코스 + 동계 안전산행 요령

by 아물리아 2022. 11. 12.
반응형

월출산은 "달 뜨는 산" 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유수한 문화자원, 남도의 향토적 정서가 골고루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월출산 정상 천왕봉에서 보는 조망은 힘든 산행을 잊게 할 만큼 멋지기로 유명합니다.

 

또한 천년 이상의 역사와 국보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도갑사와 무위사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국보인 마애여래좌상은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고, 월출산 주변에는 청동기시대 이래의 선사유적을 비롯한 옛 사람들의 풍물과 전통이 그대로 남아 있어, 가히 자연과 역사와 문화를 어우르는 "남도답사 출발지"로 손색이 없다고 합니다.

 

월출산 경포대 탐방 지원센터

월출산국립공원 경포대탐방지원센터
061-432-7921

주차 : 월출산 국립공원 경포대 탐방지원센터.

주차도 넉넉하고 잘 되어 있습니다.

 

각 지역에서 자동차로 출발하는 방법

 

◈ 서울(소요시간 4시간 40분)
서울 → 서해안고속도로 → 고창분기점 → 고창.담양고속국도 → 호남고속도로(장성방면) → 서광주IC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13호선(영암방면) → 영암 → 국도1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서울 → 경부고속도로 → 천안논산민자고속도로(광주방면) → 논산IC → 호남고속도로(광주방면) → 서광주IC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13호선(영암방면) → 영암 → 국도13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부산(소요시간 3시간 40분)
부산 → 남해고속도로(광주방면) →서광주IC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13호선(영암방면) → 영암 → 국도13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 대구(소요시간 3시간 40분)
대구 → 88고속도로(광주방면) → 동광주IC → 서광주IC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13호선(영암방면) → 영암 → 국도13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광주(소요시간 1시간 20분)
광주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 13호선 → 영암 → 국도13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 대전(소요시간 3시간 20분)
대전 → 호남고속도로(광주방면) → 서광주IC → 국도 1호선(나주방면) → 나주 → 국도13호선(영암방면) → 영암 → 국도13호선(강진방면) → 월출산 국립공원 → 경포대탐방지원센터

 

 

등산코스

경포대 탐방 지원센터 -> 경포대 삼거리 -> 경포대능선 삼거리 -> 천왕봉 -> 남근바위 -> 바람재삼거리 -> 경포대삼거리 -> 경포대 탐방 지원센터

 

높이 : 해발고도 807m
거리 : 약 6.2km

시간 : 4시간 (쉬는 시간 포함)

 

경포대 탐방로 입구와 탐방로 지도

처음 시작점은 걷기 좋습니다. 탐방지도에 나온 딱 난이도 만큼이고 천왕봉 도착하기 한 1km 전 부터는

힘들지만 구간구간 보여주는 조망이 매우 훌룡합니다.

블랙야크 100대 명산 인증이기도 하니 놓치지 마시구요.

 

정상인 천왕봉을 지나 하산하시면 아래와 같이 쉬는곳이 있고 거의 다 와서는 가볍게 발 담글 수 있는 곳 있습니다.

경포대 족욕장

제가 월출산을 여러번 시도하다가 21년 5월말에 다녀왔는데요. 그 전에 취소된 이유중에 하나가 너무 많은 폭설이 와서

입산 통제가 되고, 그때 오랜시도 끝에 천황사 야영장도 예약 성공했는데..모든 다 취소 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곧 겨울이기도 하니 월출산 동계 안전 산행 요령 알려드리겠습니다.

 

동절기 안전산행 요령 - 매우 춥거나 기상 이변이 있을 때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1. 탐방코스 확인

- 구름다리
- 종주코스, 바람폭포 경유
- 경포대지구 ~ 천황지구
- 천황지구 순환코스
- 도갑지구 ~ 경포대지구
- 산성대 주차장 ~ 광암터 삼거리

2. 입산지정제 확인
동절기 05:00 - 14:00
하절기 04:00 - 15:00

3. 산행전 일기 예보 확인
기상사태와 적설량 기온변화 체크

4.장비 및 복장 철저히 준비
방풍, 방한, 방수 의류는 필수
양말, 장갑, 모자, 내의, 아이젠, 스틱 등 준비

5. 땀조절과 안배유의
적당한 속도 유지로 체력조절 
사용이 잦은 옷, 장비는 찾기 쉬운 곳에 보관

 

 

댓글